이 영화는 복제인간(영화에서는 이 복제인간을 '리플리컨트'라고 부른다.)과 인간이 함께 사는 미래 세계의 이야기를 다룬다. 그리고 미래 세계를 그린 수많은 작품이 그러하듯 이 영화는 '정말 현실 세계에서 이런 일이 일어난다면 어쩌나'라는 생각을 가져다준다. 나는 '인간'이라는 존재성과 연결된 두 가지 질문에 대해서 생각해보았고 이에 대해 말해보고자 한다.

 

 

출처 : 네이버 영화

 

 

인간이라는 존재에 대하여

인간이 기계를 만들기 시작한 이유는 죄의식 없이 합법적인 노예를 갖기 위해서였다고 생각한다. 일은 하기 싫고. 그렇다고 본인 대신 다른 인간을 노예처럼 부리기엔 죄의식이 들고. 어쩌면 죄의식보다는 타인의 부정적인 시선에 대한 두려움일 수도 있다. 아무튼 그래서 인간이 아니되 명령하는 일에 복종할 존재를 만들고자 한 것이다.

 

여기서 집중해야 하는 건 인간이 아닌 존재는 무엇인가. 더 정확히는 무엇이 인간다운 것인가이다. 그 기준은 사실 굉장히 모호하다. ‘생명을 창조할 능력이 기준이라면. 동성애자, 불임인 자는 사람이 아닌가? 그건 아니다. ‘감정이 기준이라면. 그 감정의 유무는 무엇으로 판별할 수 있는가. 희로애락을 느낀다고는 하지만. 그걸 실제로 느끼는 것인지. 아니면 어떠한 자극으로 인한 학습된 반응인지. 인간인 나조차 헷갈릴 때가 있다. 그러므로 이 또한 명백한 기준은 될 수 없을 것이다.

 

솔직한 심정으로는 애초에 인간과 닮은 기계를 만들지 않았으면 한다. 외양이야말로 가장 구별하기 쉬운 기준이 될 테니까. 이런 복잡하고 심오한 고민을 하고 싶지도 않다. 그럼에도 수많은 소설과 영화 작품에서 기계의 자유를 이야기하는 이유는 그러지 않기를 바라지만 언젠가는 논해야만 하는 날이 올 것이라는 걸 우리 모두 알고 있고 예상하기 때문일 것이다. 기계와 인간의 구분이 불명확해지는 날이.

 

 

기계의 해방에 관하여

그렇다면 다음 질문은 과연 우리는 기꺼이 기계의 해방을 받아들일 수 있는가이다. 정말 인간보다 더 인간다운 리플리컨트가 존재하고. 그들이 자신들은 인간과 같다고 주장한다면. 그래서 자유를 달라고 말한다면. 인간인 나는 그들을 인정할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나는 리플리컨트를 같은 인간으로 인정할 것이다. 이는 그러한 행동이 나를 더욱 인간답게 만들기 때문이다. 누군가의 정체성은 그 자신이 결정한다고 생각한다. 어떤 사람이 한국에서 태어나 교육을 받고 자랐지만, 본인이 미국인이라고 생각한다면 그 사람은 미국인이다. 어떤 사람이 여성의 몸으로 태어났지만, 본인이 남성이라고 생각한다면 그 사람은 남성이다. 그러한 정체성은 타인이 정해줄 수 없다. 정해 주어서도 안된다. 기계가 자신의 정체성을 인간으로 생각한다면 그 기계는 인간이다. 그걸 부정한다는 건 인간인 나의 정체성 나아가 삶을 부정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나는 나의 정체성을 스스로 생각하고 정해왔으니까. 그렇게 삶을 살아가고 있으니까. 그 삶을 존중받고 싶다면 나 또한 그렇듯이 다른 존재들도 그렇다는 것을 존중해야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간들은 기계를 만들 때 더욱 고민할 필요가 있다. 기계를 만드는 행동이 단순히 일을 대신해주는 것을 만드는 게 아닐 수 있다. 또 다른 인간을 창조하는 행동일 수도 있다. 이러한 혼란들이 싫다면 기계를 인간답게 만들지 않으면 된다. 모습도, 사고방식도, 감정도 인간과 다르게 만들면 된다. 하지만 이 세계가 돌아가는 꼴을 보아하니 그것은 어려울 듯싶다. 인간이란 존재는 애초에 선을 넘는 것에 쾌락을 느끼는 답 없는 존재이니까. 살아있는 동안 기계과 인간과 같이 되지 않도록 노력은 해볼 것이다. 그러나 실패하여 기계와 인간이 동등해지는 시대가 온다면 미래의 내 아이 혹은 아이의 아이에게 할 수 있는 말은 그저 받아들여라.” 일 것 같다. 단지 인간을 만드는 인간의 선택이었을 뿐이니.

 

 


만약 이 글을 읽고 혹은 이 영화를 보고 흥미가 생겼다면 다음의 작품들도 함께 볼 것을 추천한다.

 

영화 시리즈

블레이드러너는 영화 시리즈로, 「블레이드러너2049」(드니 빌뇌브, 2017)는 영화 시리즈의 마지막 편이다.(2020년 2월 기준)

이 시리즈의 가장 처음은 「블레이드러너」 (리들리 스콧, 1982)이다. (이 영화만 해도 원작, 감독판, 파이널컷으로 세 버전이 존재하는데, 파이널컷 버전을 가장 추천한다.) 그리고 2017년에 마지막 영화가 나온 것이다. 이 두 영화의 시간 사이에서 일어난 일들을 그린 것들이 프리퀄 단편 3개이다. 이 단편 3개는 유튜브에 올라와 있으니 지금 당장 볼 수 있다. 이렇게 글로 써보니 조금 복잡한 것 같은데, 시간 순서대로 보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보면 된다.

 

1. 「블레이드러너」 (리들리 스콧, 1982)

2. [블레이드 러너 2049] 프리퀄 단편 '블레이드 러너 2022'

3. [블레이드 러너 2049] 프리퀄 단편 '블레이드 러너 2036'

4. [블레이드 러너 2049] 프리퀄 단편 '블레이드 러너 2048'

5. 「블레이드러너2049」 (드니 빌뇌브, 2017)

 

 

원작 소설

이 영화 시리즈의 원작은 사실 따로 존재한다. 필립 K. 딕의 「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의 꿈을 꾸는가?」가 바로 그것이다. 원작인만큼 이 작품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책을 읽을 것을 가장 추천한다.

 

 

출처 : 알라딘

 

 


이 글에서는 거의 인간의 존재성에 대해서만 이야기한다. 하지만, 이 영화는 단순히 그렇게만 해석하기에는 크게 아쉽다. 특히 앞서 말한 영화 시리즈와 원작 소설을 읽고나면 더욱 그러하다. 긍정적인 것부터 부정적인 것까지 이야기할 것들이 꽤 많다. 여성을 다루는 방식, 일본 문화에 대한 표현 등 그리고 그런 것들을 통해 해석할 수 있는 작가와 그 사회의 가치관까지.

 

호불호가 크게 갈리는 영화이긴 하지만, 생각할 거리를 많이 던져준다는 점에서 한 번쯤은 볼 것을 추천한다!

 

+ Recent posts